함대 컬렉션 칸코레 비스마르크(Bismarck) 18스케일 피규어





안녕하세요 빈별입니다.!


요즘 피규어 수집에 취미가 생겨서 자주 사고 있는데요


이번에 구매한 피규어는 함대 컬렉션 비스마르크 피규어입니다.



함대 컬렉션 ‐칸코레‐ 비스마르크


이번에도 역시 도쿄락에서 구매하게 되엇는데요.




이 피규어에 단점이 있다 보니 가격이 처음 발매 한 것보다 상당히 덤핑되어 있습니다.

한발로 서 있기엔 피규어 장식 무게가 무겁다 보니 해외에선 발이 부러지는 사례가 있다고 하여 덤핑된듯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비싸다는...



생각한거보다 상당히 고 퀄리티 하네요



함대 컬렉션 ‐칸코레‐ 비스마르크


모자는 자석!



함대 컬렉션 ‐칸코레‐ 비스마르크


파츠 앞 부분



함대 컬렉션 ‐칸코레‐ 비스마르크


파츠 옆 부분 






함대 컬렉션 ‐칸코레‐ 비스마르크



풀 샷


정면에 파츠 장착 사진은 다시 찍어야 겠... ㅠ



여태 구매한 피규어중에 제일 맘에 드네요!! 하핫!










소드 아트 온라인 아스나 혈맹기사단 18스케일 피규어




이번에 소드 아트 온라인 아스나 혈맹기사단 Ver 18스케일 피규어를 구매했습니다.

도쿄락 사이트에서 구매를 했는데 벌써 6번째네요.

도쿄락의 장점은 다른 사이트에서 품절된 피규어도 구매가 가능한적이 많고, 가격도 저렴해 피규어 구매할 때 자주 이용합니다.




소드 아트 온라인 아스나 혈맹기사단 Ver






소드 아트 온라인 아스나 혈맹기사단 Ver




포장도 잘 되어 있고 박스 내에도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잘 포장 되어 있습니다.





소드 아트 온라인 아스나 혈맹기사단 Ver




구성도 간단합니다.


밑판, 칼, 아스나 이렇게 3개로 구성이 되어 있네요


굿스마일에서 만들어서 그런지 퀄리티가 장난 아닙니다. 애니메이션 내 아스나를 정말 똑같이 만들어놨네요 




소드 아트 온라인 아스나 혈맹기사단 Ver




디테일 샷은 나중에 ........


그럼 이만









도쿄락에서 함대콜렉션 북방서희 피규어구매






북방서희










넨도로이드 디스가이아 피규어




안녕하세요 빈별입니다.~!^^



이번에 디스가이아 피규어를 구매했습니다..


디스가이아 및 디스가이아 d2 주인공들인 '에트나' 와 '프론'입니다..

프론의 경우 디스가이아 d2에서 한글이름은 '플론'으로 나오는데 듣는건 프론으로 들려서...


아무튼...



넨도로이드 피규어를 좋아해서 이번에 구매 결정!!




프론짱~!





에트나짱!!!






애들이 붕붕 떠 있네요.. 대충 조립해서 그런듯 ㅠ


귀요미들...


'도쿄락' 사이트에서 아주 저렴하게 구매 했네요..





디스가이아 넨도로이드 피규어가 이게 전부라는데 아쉽네요.. ㅠ 더 사줄 수 있는데..






이로써 다 모았네요~!! ㅋㅋ



넨도로이드 안에 파츠가 더 있긴 한데...

그 사진은 추후에 올려야겠네요!

자세한건 나중에...


그럼 이만..!!!











tomcat ssl 적용방법 :: keytool을 이용해 SSL보안 적용하기




웹 보안을 위해 개발용으로 간단히 테스트 겸 했었던걸 기억이 나서 이제야 올리게 되네요

SSL보안을 위해선 Keytool을 이용해 keystore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JDK에 포함된 Keytool을 이용하여 Tomcat에 SSL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SSL에 대해서 간단히..


SSL이란 Secure Sockets Layer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이 

보안면에서 기밀성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상거래시 요구되는 개인정보와 크레딧카드 정보의 보안 유지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먼저 keytool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아야겠죠??

JDK를 설치하셨으면 BIN폴더 안에 keytool.exe파일이 있습니다.



파일이 존재하는지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where keytool.exe



커맨드(CMD)를 실행해서 where keytool.exe 혹은 where keytool이라고 입력하시면 

keytool위치를 알수 있습니다.



이제 keytool을 이용해 키스토어(keystore)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keytool -genkey -alias tomcat -keyalg RSA 



이름과 성 부분은 도메인명을 입력하여 주세요

SSL 보안 인증서를 등록하고 브라우저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

이름과 성 부분이 도메인명으로 입력됩니다


참고하세요!



자 아제 적용하면 됩니다.

Tomcat server.xml 파일을 오픈합니다.

SSL 적용을 위해서 아래 소스를 추가합니다.


<Connector port="8443" protocol="HTTP/1.1" SSLEnabled="true" maxThreads="150" scheme="https" secure="true" clientAuth="false" sslProtocol="TLS" 

keystoreFile="${user.home}/tomcat.keystore" keystorePass="패스워드"/>







톰캣을 실행시키고 아래 주소로 접속합니다.


https://localhost:8443




간단히 Keytool을 이용하여  Tomcat에 SSL 적용을 해봤습니다.

테스트용으로 사용할 때 해본 방식이라 테스트용도로만 사용해주세요





Symantec에서 제공하는 Trial인증서

코모도(Comodo) Free인증서

Startssl 무료인증서

SecureSign 인증서








iptime ddns 설정 및 공유기 외부 접속 설정


외부에서 공유기에 접속을 하려면 

ddns등록이 필수로 하셔야 합니다.


iptiem wol 어플을 이용할 때도 필요함으로

미리 등록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게이트웨이로 접속합니다.

192.168.0.1


일반 가정에서는 192.168.0.1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물론 아닐 수도 있지만. 접속이 안될경우

게이트웨이를 확인하세요


게이트웨이 확인 방법 입니다.





시작 버튼을 눌러서 cmd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실행하면 커멘드창이 오픈됩니다.




커맨드창에서 ipconfig명력어를 실행시켜 줍니다.

실행하면 ip주소와 게이트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브라우저를 열어서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하세요

그 다움 공유기 메뉴에서 DDNS 설정을 클릭하세요







DDNS를 등록해줍니다.



서비스 공급자는 iptime ddns

호스트 이름 : 아이디.iptime.org

사용자계정 : 이메일

사용자 암호 : 암호




등록하고 갱신을 눌러줍니다.

접속 상태가 정상등록이 되었으면 정상적으로 등록이 되신거구요

에러가 나셨다면 메일주소나 암호를 정확히 등록해주시면 정상 등록이 되실꺼에요







iptime ddns를 설정하셨으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합니다.

외부접속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외부에서 컴퓨터 켜기 및 공유기 접속 방법



예전에는 외부에서 컴퓨터를 켠다는건 상상조차 못했던 일이 지금은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타 공유기는 셋팅이 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론 전 안해봤습니다. ㅡ. ㅡ


게이트웨이 포트를 통해 공유기에 접속해서 WOL기능을 활성화 해주는 방법과 

iptime에서 제공하는 iptime wol 어플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iptime wol어플을 다운받아주세요




어플을 다운받았으면 실행시켜줍니다.





iptime wol 어플을 실행한 처음 화면입니다.


공유기 정보는 자동 검색해서 추가 방법과

수동으로 추가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당연히 자동으로 하는게 편하겠죠?

자동으로 검색을 눌러줍니다.!







만약 3G나 LTE로 접속 되어 있다면 자동검색으로 찾을 수 없습니다.

내부망 Wifi로 접속을 하셔야 공유기 검색이 가능합니다.!



공유기가 n개면 n개의 공유기가 나오겠죠??

전 iptime n104 공유기 찾았습니다.


선택하시면 공유기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클릭해주세요!







공유기 설정에 암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등록해줍니다.


그래야 공유기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주소와 함께 DDNS 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입려되어서

표시됩니다.



등록이 안되어 있을 경우




iptime wol DDNS 등록방법을 참고하세요

등록 한 다음 공유기 추가 완료를 선택합니다.







자 그러면 iptime n104 공유기가 추가 되었습니다.

추가된 공유기를 선택해주세요!







켜실 PC를 등록합니다.

자동검색과 수동추가 기능이 지원되니

편하긴 기능을 이용해서 추가하세요


전 자동으로.....






새로 추가할 PC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PC이름과 MAC 어드레스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추가를 선택하시면 PC가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선택하면 전원버튼을 누를 필요 없이 등록된 PC를 켜실 수 있습니다.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컴퓨터 전원을 ON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본인 또한 급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iptime wol 어플을 이용해 외부에서 컴퓨터 켜기 및 공유기 접속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아이폰 아이패드로 토렌트 사용하기 :: PP브라우저 사용법

 

 

흔히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를 많이 비교합니다.

자세히 말하자면 IOS와 Android OS를 많이 비교하죠

 

아이폰 IOS의 단점은 작은화면과 폐쇄성이라고들 말하는데

 

맞는 말입니다... (본인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등)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사과 매니아입니다.

IOS가 불편한 점도 있지만 장점도 참 많습니다.

 

뭐 이 포스팅에서 장단점을 논하자는건 아니고

아이폰에 비해 안드로이드는 다양한 어플이 존재합니다.

그 중 하나가 토렌트를 지원한다는 것이죠

 

아이폰은 토렌트 어플리케이션이 없습니다.

그래서 영상을 다운받고 아이툴즈나 아이튠즈로 이용해 복사하여 사용하는데요

 

아이폰 :: 아이패드도 토렌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P브라우저를 이용하면 토렌트 파일을 이용해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받을 수 있어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먼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으셔야 합니다.

다운받으실 때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로 브라우저(사파리, 크롬)를 열어서 다운받으세요!

그래야 바로 어플이 설치됩니다.

 

 

PP브라우저 다운받기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버튼을 보실 수 있습니다.

 

 

파란색 버튼은 일반유저

녹색 버튼은 탈옥유저

 

입니다.

 

 

 

 

 

설치를 하셨으면 PP브라우저가 설치된걸 보이실껍니다.!

 

 

자 다음은 어플을 실행하세요!

PP브라우저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릴께요

 

 

 

 

강아지가 귀엽군요.. ㅡ. ㅡ

 

토렌트 사이트는 굳이 알려드리지 않아도.. 다들 아실꺼라고 생각합니다.

 

토렌트 사이트에서 원하시는 파을을 다운받아주세요

 

저는 한국영화 몬스터를 받아봤습니다.

 

 

 

 

 

 

 

 

파일명을 입력하는 다이얼로그 화면이 나타압니다.

알아보기 쉽게 입력하는게 좋겠죠??

 

 

 

 

 

보라색 퍼즐 모양의 네모박스 부분이 다운로드 하면 파일리스트를 볼 수 있는 곳 입니다.

클릭하세요!

 

 

 

 

 

 

첫번째 빨간색 박스 부분 버튼을 클릭하세요

 

 

 

 

 

 

그럼 파일 정보가 나옵니다. 파일명, 용량등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이 3개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전체 선택

두번째는 전체 해제

 

빨간색 네모칸 버튼은 완료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세번째 버튼을 클릭하면 파일이 다운받아집니다.!

 

 

 

 

요렇게! 파일이 다운받아 지는걸 보실 수 있어요!!

이젠... 기달려야겠죠??

 

잠깐 놀다옵니다~!! ^^

 

 

 

 

 

다운이 완료되면 토렌트 파일이랑 영상파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영상파일을 클릭합니다.

 

 

 

 

 

영상파일을 클릭하면 토렌트로 파일 다운받을 때 나온 2가지 메뉴가 나오는데요

이번엔 아래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2번째 메뉴를 클릭하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어플들이 나열되서 나옵니다.

원하는 어플을 선택합니다.

 

주의!!

클릭하면 반응이 없다고 느끼실껍니다.

반응이 없는게 아니고 내부적으로 파일을 복사하고 있는거라서 사양에 따라서 오래 걸릴 수도 있습니다.

 

복사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어플이 실행됩니다.

전 nplayer로 동영상을 자주 보는 편이라 nplayer를 선택했습니다.

 

 

 

 

 

복사된 파일은 INBOX폴더에 저장됩니다.

 

 

 

 

자 아이폰을 이용해 토렌트 파일 다운 방법과 실행,

PP브라우저에 사용법에 대해 적어봤습니다.

 

 

이미지 캡쳐하다 보니 아이패드 이미지가 상당히 크네요... 당황스럽...ㅡ. ㅡ

 

PP브라우저가 한글 지원이 안되서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2,3번 받다보면 금방 이해하실꺼에요~!

 

 

 

 

 




Windows 7 USB Download Tool을 이용한 윈도우7 부팅디스크 만들기



윈도우 xp 서비스가 2004년 4월 8일부로 종료되었습니다.


오늘 종일 네이버 및 실시간 포털 사이트에선 윈도우7, 윈도우xp가 

실시간 검색에 올라와 이슈가 되었는데, 

그로인해 윈도우 설치 하실 분들이 많으실꺼라 생각이 드네요




그래서 USB를 이용한 윈도우 설치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CD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설치하거나 가상시디롬을 이용해서 설치하곤 했는데요


메인보드 USB부팅이 지원되면서 USB를 이용해 윈도우 설치가 가능합니다.

또 USB가 저렴할 뿐더러 효율성도 좋아

CD를 대체용품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계시구요


먼저 부팅디스크(USB) 만드는 프로그램은 많기도 많지만, 사용해보면 불편하고 안되는 경우도 태반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USB 다운로드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서 프로그램을 다운 받으세요






준비물


1. Microsoft Windows 7 USB/DVD download tool 프로그램

2. 윈도우7 Image File(파일명.ISO)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아래와 같이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윈도우7 USB 부팅디스크 만드는 법은 간단합니다.


Windows 7 USB DVD Download Tool 바로가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Source file에 윈도우7 이미지 파일 (ISO) 파일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ISO파일이 없으시다면 직접 구하셔야 될듯 하네요

대한민국은 불법천지, 인터넷이 아주 잘 발달한 국가여서 구하는건 식은 죽먹기보다

쉬울꺼라 생각이 듭니다~ ^^





다움은 USB device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마지막 단계까지 왔습니다.


USB를 연결하면 USB드라이브가 빨간색 네모칸에 표시됩니다.

여러개가 꼽혀 있거나, 혹은 다른 USB에 덮어 씌우는 불상사는 없으시길 바랍니다.


잘 보고 설치하시기 바래요~!



USB드라이브를 선택하고 

Begin coying 을 클릭하시면



프로그램이 필요한 파일을 자체적으로 복사를 해

윈도우7 부팅디스크를 만듭니다.

시간은 3~5분정도 소요되니 인터넷 서핑좀 하다 보면 금방 완료 됩니다.



부팅디스크(USB)를 꼽은 상태로 재부팅을 하시면 윈도우를 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단! USB를 첫번째 부팅으로 설정하셔야겠죠??


윈도우7이나 윈도우8을 설치하거나 USB부팅디스크를 만드시는 분들께 

적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vmware 리눅스 민트 해상도 1920x1080으로 변경하기



요즘 심심해서 리눅스를 좀 사용해볼까 해서 vmware에 리눅스 민트를 설치하고 만지작 만지작 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지우고 다시 설치가 용이해서 사용중인데요


뭐 다른 이유도 있지만... 그건 생략할께요.!


vmware에 리눅스 설치시 해상도 1920x1080이 지원이 안됩니다.

제 모니터 해상도를 100% 사용하고 싶다는 마음에!! 찾아봤는데 제대로 되는게 없어서ㅠ




지금부터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맥 레티나를 제외하고 대부분 해상도는 1920x1080해상도를 사용하실꺼라고 생각이 됩니다.

더 좋은 모니터나 다른 해상도를 사용하고 계신분들도 있으실텐데요




vmware설치시 지원하는 리눅스 해상도 입니다.


해상도 추가 방법은



/etc/X11/xorg.conf



파일을 추가하여 아래 소스를 추가만 해주시면 됩니다.


추가 작업시 파일 쓰기 권한이 없음으로 ROOT 권한을 가지고 와서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터미널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xorg.conf 파일을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파일을 만들고 소스 추가!! 당연한걸 잊으시면... 안됩니다.!



Section "Device"

Identifier "Configured Video Device"

EndSection


Section "Monitor"

Identifier "Configured Monitor"

Modeline "1920x1080_60.00"  173.00  1920 2048 2248 2576  1080 1083 1088 1120 -hsync +vsync

Option  "PreferredMode" "1920x1080_60"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Default Screen"

Monitor "Configured Monitor"

Device "Configured Video Device"

DefaultDepth  24

SubSection "Display"

Depth 24

modes "1920x1080" "1280x1024" "1024x768" "640x480"

EndSubSection

EndSection




소스를 추가하고

재부팅을 해주세요!






그러면 위 사진처럼

해상도 1920x1080 해상도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UI적으로 설명을 드렸습니다.

원래는 터미널로 설명을 할려고 했는데


UI가 더 간단하고 초보분들에게 쉬울꺼 같아서 UI로 알려드립니다.!



모든 리눅스에서 적용이 아니고 리눅스 민트에서만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이 방법이 적용이 안되면 다른 방법을 찾아보셔야 됩니다.